檢 "뉴스버스 대표, 김만배와 수차례 통화 후 허위 의혹 보도" - 2023. 12. 26
지난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허위 보도가 이뤄졌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언론 매체 뉴스버스의 이진동 대표를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 대표가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와 수일에 걸쳐 수차례 통화한 후 허위 의혹 보도를 지시했다고 보고있습니다.
12월 26일 언론의 취재에 따르면, 검찰은 이 대표가 윤 대통령 검사 시절 대장동 대출 관련 수사를 무마했다는 의혹을 보도하기 전 김씨와 통화하는 등 접촉했다고 의심한답니다.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사건'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부장검사)은 이날 오전부터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 서초구 소재 이 대표 주거지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다. 이 대표는 피의자로 입건됐다.
검찰은 서울 마포구 소재 뉴스버스 사무실에서 이 대표의 업무용 PC도 확보했다. 검찰은 당초 뉴스버스 사무실을 포함한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이 기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에서, 이 대표가 "김만배와 1992년부터 2000년 사이 한국일보에서 함께 근무한 이래 약 30년 이상 서로 알고 지내온 사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김만배와 수일에 걸쳐 수차례 통화한 직후, (당시 뉴스버스 기자) A씨에게 경향신문의 <비리로 얼룩진 '대장동 개발사업' 검 관련자 9명 기소>라는 기사를 전달하면서 '2011년 대검 중수부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에 대해 취재해 보라'는 취지로 지시했다"고 적시했답니다.
이어 "A씨는 이 같은 지시에 따라 이 대표와 소통하며, 김만배, 남욱 등 민간업자들은 이재명, 정진상, 유동규 등 공직자들과 유착관계를 형성한 다음 성남도시개발공사의 비밀을 이용하는 등 부정한 방법으로 막대한 수익을 취한 것임에도 '이들이 얻은 막대한 수익이 모두 이강길(대장동 초기 사업자)이 조우형을 통해 받은 부산저축은행 자금을 종잣돈으로 한 수익이다'라고 보도했던 것이다"고 했습니다.
아울러 "이 대표는 2021년 10월7일 <[분석과 해설]주임검사 윤석열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대장동 SPC 빠져>라는 제목으로 '조우형이 이강길로부터 10억3000만원의 알선료를 받았음에도 대검 중수부가 대출 건 수사를 하지 않았는데, 당시 주임검사는 윤석열 후보다'라는 취지의 기사를 A씨 명의로 보도하기도 했다"고 적시했다.
검찰은 이 대표가 A씨와 공모해 이씨가 '대검 중수부는 2011년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 과정에서 대장동 대출 관련 비리 혐의를 수사하고 은폐했다'는 취지의 허위 의혹 보도를 했다고 보고 있답니다.
뉴스버스 전직 기자인 A씨는 지난 2021년 10월21일 대검 중수부가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과정에서 조씨의 대장동 불법 대출 연루 정황을 포착하고도 수사를 무마했다는 취지로 보도했다. 당시 윤 대통령은 대검 중수2과장이었다.
특히 A씨는 대장동 초기 사업자 이강길씨가 조씨에게 10억3000만원을 줬다고 진술했음에도 수사가 무마됐다고 지적했답니다.
검찰은 해당 기사를 보도한 A씨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지난 10월26일 압수수색한 바 있다.
한편, 검찰은 지난 9월부터, 20대 대선을 앞두고 선거 개입을 목적으로 당시 유력 후보였던 윤 대통령에 대한 허위 보도들이 나왔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다. 앞서 뉴스타파, JTBC, 리포액트, 경향신문 기자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선 바 있답니다.
검찰이 윤 대통령 명예훼손 사건으로 언론사 대표를 압수수색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이 대표는 "부실수사가 정말로 사실 (정권) 비판 언론에 대한 옥죄기 차원"이라며 "눈엣가시라고 판단하고 들어오는 언론 탄압의 연장선이다"라고 밝혔답니다.
'고발사주' 의혹 보도 이진동 "취재원은 국민의힘 사람" - 2021. 9. 5
윤석열 전 검찰총장 재임 시절 대검이 여권 정치인에 대한 고발을 야당에 사주했다는 의혹을 보도한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의 이진동 기자는 “(취재원은) 국민의힘 사람”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스버스’ 발행인인 이 기자는 지난 3일 KBS1 라디오 ‘주진우 라이브’에 출연해 ‘제보자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추종 세력이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취재원은 지금 밝힐 수 없던 것이다”면서도 “미래통합당 법률지원단까지 갔다는 얘기를 김웅 의원이 했다. 그러니까 미래통합당 측, 지금 국민의힘 측 사람인 건 맞다”고 주장했답니다.
그러면서 취재원이 김오수 검찰총장, 박범계 법무부 장관일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억측”이라며 “이 조그마한 회사(뉴스버스)에 왜 (기삿거리를) 주겠나. 주려면 큰 곳에 주지”라고 일축했답니다.
아울러 그는 김웅 의원이 제보자는 아니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 기자는 “김 의원 같은 경우는 제보자가 단연코 아니다”라며 “첫 해명과 두 번째 해명이 다르고 그 이후에 공익제보라는 말씀을 하는 걸 보면 (제보했다면) 그렇게 다를 수 없다”고 말했답니다.
여권 정치인이 피고발인으로 적시된 문제의 고발장에 대해 “공개할 생각을 갖고 있다”며 “나중에 이게 공개되면 ‘저것 때문에 제가 확실하게 청부 고발이라고 하는구나’ 이런 걸 충분히 이제 정말로 납득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